티스토리 뷰
목차
공연, 전시, 연극을 좋아하지만 입장료가 부담스러우셨다면, 문화체육관광부가 시행하는 청년 문화예술 패스 제도를 주목해주세요. 2025년 기준, 청년 1인당 최대 15만 원 상당의 관람비가 지원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청 대상과 방법, 사용 가능한 공연·전시처는 물론 주의사항과 유효기간까지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청년 문화예술 패스란?
문화예술 향유 기회가 적은 청년층에게 공연·전시 관람권을 지원해 문화생활 참여를 늘리기 위한 정부 지원 사업입니다.
간단한 신청만으로 모바일 카드 형식의 관람지원 포인트가 지급되며, 지정된 사용처에서 입장권 결제 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2025년 신청 자격
- 출생연도 : 2006년생(만 18세 청년)
- 국내 거주 중인 내국인 (외국인 제외)
- 온라인 신청에 동의할 수 있는 자
※ 청년기본법 기준의 만 19세~34세 청년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2025년에는 **만 18세(2006년생)**만 신청 가능하니 주의하세요.
지원 금액과 사용처
구분 | 내용 |
지원 금액 | 1인당 최대 150,000원 상당 |
지급 형태 | 문화누리카드와 유사한 모바일 문화카드 |
사용처 | 전국 공연장, 전시장, 문화예술 관련 플랫폼 (지정처) |
유효기간 | 2025.03.04 ~ 2025.05.31 |
신청 방법
신청은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접수할 수 있습니다.
- 신청기간 : 2025년 3월 4일 ~ 2025년 4월 16일
- 신청방법 : 온라인 누리집(culturepass.kr)을 통해 접수
- 지급일정 : 신청일 기준 3일 이내 문자 발송 및 카드 발급
※ 2025년 기준은 2006년생만 대상이므로 생년월일 오류 시 접수되지 않습니다.
사용 방법과 주의사항
지급받은 청년 문화예술 패스는 모바일 카드 형식으로 발급되며, 지정된 공연장·전시장·예매처에서 문화패스 전용 결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제는 일반 신용카드처럼 단말기에 긁는 방식이 아니라, QR코드 또는 모바일 바코드를 제시하거나, 온라인에서 문화패스 선택 결제로 진행됩니다.
- 온라인 예매처 (예: 인터파크, YES24 등) 사용 가능
- 유효기간 종료 후 잔액 자동 소멸
- 타인 양도·판매 금지 (적발 시 전액 환수)
※ 관람권으로만 사용 가능하며, 도서 구입이나 영화 외 일반 소비는 제한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다른 지원금과 중복 수령 가능한가요?
A. 네. 문화누리카드 등 타 문화예술 지원금과 중복 가능합니다.
Q. 사용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A. 공식 누리집(culturepass.kr)에서 지정 공연장/전시장 리스트 확인 가능합니다.
Q. 가족이 대신 사용할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본인만 사용할 수 있으며 양도 시 부정 사용으로 간주됩니다.
Q. 지원금이 남았는데 5월 말 이후에 사용 가능한가요?
A. 유효기간 이후 남은 금액은 자동 소멸되며 이월되지 않습니다.
공식자료 참고
이 글은 문화체육관광부 및 청년 문화패스 누리집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지원금 운영 주체나 신청 기간은 예산 및 정책 변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