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에너지 바우처 외에도 저소득층을 위한 다양한 공공요금 감면 제도가 있습니다. 전기요금과 도시가스요금은 신청 여부에 따라 감면이 가능하며, 실제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감면 대상, 신청 방법, 절약 팁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전기요금 감면 대상과 신청 방법
한국전력공사는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대상으로 전기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급여 대상자)
- 장애인 등록 가구
- 차상위계층
- 다자녀가구 (3자녀 이상)
감면 신청은 한전 콜센터(123) 또는 복지로 누리집 및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가능합니다.
전기요금 감면 혜택 내용
구분 | 감면 내용 |
기초생활수급자 | 월 최대 16,000원까지 감면 |
장애인 | 월 최대 16,000원 감면 |
다자녀가구 | 월 최대 1만 6천 원 정액감면 |
도시가스 요금 감면 제도
도시가스는 지역 도시가스회사를 통해 사회적 배려대상자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 지역 도시가스 고객센터나 복지부서에 문의하면 신청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 요금의 약 20~30% 감면
- 장애인 가구 : 월 정액 감면 또는 일부 요금 면제
- 독거노인, 한부모가정도 지역에 따라 감면 가능
도시가스 감면은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 적용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에너지 절약을 위한 생활 팁
- 여름철 에어컨은 26도 이상 설정하고, 선풍기 병행 사용
- 겨울철 전기장판은 취침 후 자동 OFF 기능 활용
- 가스보일러는 외출 모드, 난방 구역 설정 적극 활용
- 미사용 멀티탭은 항상 전원 차단
생활 속 절약 습관을 실천하면 에너지 바우처와 감면 혜택이 더욱 효과적으로 체감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전기요금 감면은 신청 후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 신청한 달부터 바로 적용됩니다. 보통 다음 고지서부터 반영됩니다.
Q2. 전기요금 감면과 에너지 바우처는 중복 적용되나요?
A. 네. 두 제도는 상호 보완적으로 중복 수혜가 가능합니다.
Q3. 도시가스 감면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 관할 도시가스회사 또는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여 서면 신청하면 됩니다.
Q4. 한부모가정도 감면 받을 수 있나요?
A. 일부 지역에서는 가능하며, 해당 지자체나 공급사에 문의가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아래 글을 함께 보면 공공요금 절감에 더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공식자료 참고
이 글은 한국전력공사, 복지로, 각 도시가스사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공식자료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